본문 바로가기
Frontend/HTML

HTML의 텍스트 관련 태그

by 코딩쥐 2024. 6. 26.

 HTML의 태그는 웹페이지의 구조와 컨텐츠를 정의하는 필수 구성 요소로,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이루어져있다. 태그는 각자 고유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태그에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HTML의 태그는 블록태그(block)와 인라인태그(inline)로 나뉜다. 블록태그는 항상 새 라인에서 시작하고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 블록 공간을 차지하고, 인라인태그는 자신의 내용과 앞뒤 태그의 내용을 같은 라인에 출력하는 태그이다. 

  종류
블록태그 <p>, <h1>, <div>, <ul>
인라인태그 <strong>, <a>, <img>, <span>

 

텍스트 관련 태그

 html은 기본적으로 엔터, 탭, 스페이스바는 무조건 공백 하나로 인식한다. 텍스트 관련 태그를 사용하여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CSS를 사용하지 않아도 텍스트에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 

 

HTML 제목관련 태그

  • <h숫자> </h숫자>
    제목이나 부제목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태그로, 일반 텍스트보다 크기가 크고 진하게 표시된다.  <h1>부터 <h6>까지 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제목1</h1>
    <h2>제목2</h2>
    <h3>제목3</h3>
    <h4>제목4</h4>
    <h5>제목5</h5>
    <h6>제목6</h6>
</body>
</html>

 

HTML 문장관련 태그

  • <!-- 주석 -->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덧붙이는 설명글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 <p> 문단 </p>
    입력한 내용 앞뒤로 빈 줄이 생기면서 문단이 만들어진다. 문단을 적을 때 사용한다.

  • <p style="white-space: pre;"> 문장 </p>
    HTML 요소의 공백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한 내용으로, white-space: pre의 경우 연속된 공백과 줄바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white-space 속성에는 normal, nowrap, pre, pre-wrap, pre-line 등의 속성 값이 있다. 

  • <pre> 문단 <pre>
    태그로 감싼 문장을 입력한 문자 형태 그대로 브라우저에 표현한다. 형식이 필요한 문서 등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 <br/>
    텍스트 안에 줄바꿈을 생성한다.

  • <hr>
    수평선을 삽입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 주석의 경우 화면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설명글 작성 시 사용된다.-->

    <p> 〈p〉태그는 글자를 작성할 때 사용하지만, 엔터, 탭 그리고
        스페이스가 무조건 공백 하나로 인식한다.</p>

    <p style="white-space: pre;"> 〈p〉태그에 속성을 넣어
        엔터와, 탭, 스페이스가 인식되게 할 수 있다. </p>
     
    <hr>

    <pre> 〈pre〉태그는     띄어쓰기나
        엔터와 탭 모두 인식된다. </pre>

    <p>간단한 줄바꿈은 〈br〉태그<br>을 통해서 가능하다. </p>

</body>
</html>

주석의 경우에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다.

HTML 문장 서식 관련 태그

  • <b> 굵게 </b> 또는 <strong> 굵게 </strong>
    글자를 굵게 한다. (<b>태그의 경우 html4에서, <strong>태그의 경우 html5에서 사용 된다.) 

  • <i> 기울이기 </i> 또는 <em> 기울이기 </em>
    글자를 기울인다. (<i>태그의 경우 html4에서, <em>태그의 경우 html5에서 사용 된다.) 

  • <mark> 형광펜 </mark> 
    글자의 배경색을 추가한다. 

  • <small> 작은 글씨 <small>
    기본 본문 글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글씨로 표시된다. 

  • <ruby> 주요 텍스트 <rt> 작은 주석 </rt> </ruby>
    주요 텍스트에 대한 주석을 표시한다. 주요 텍스트의 경우 <ruby> 태그 내에 작성되고, 주석은 <rt>태그에 작성된다. 

  • <sup> 위 첨자 </sup>
    텍스트를 위 첨자로 작성한다. 

  • <sub> 아래 첨자 </sub>
    텍스트를 아래 첨자로 작성한다. 

  • <s> 취소선 </s>
    텍스트에 취소선을 추가한다.

  • <u> 밑줄 </u>
    텍스트에 밑줄을 추가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p><b>〈b〉태그는 굵게</b><strong> 〈strong〉태그도 굵게</strong> 가능하다.</p>
    <p><i>〈i〉태그는 기울이게</i> <em>〈em〉태그도 기울이게</em> 가능하다.</p>
    <p><mark>강조할 수 있고</mark> <mark style="background-color: coral;">색도 바꿀 수 있다.</mark></p>
    <p><small>작은 글씨로 변경</small> 할 수 있다.</p>
    <p><ruby>〈ruby〉태그 사용법이다.<rt>일본어에서 많이 쓰인다.</rt></ruby></p>
    <p>위<sup>첨자</sup>, <sub>아래</sub>첨자</p>
    <p><s>텍스트 중간에 취소선</s> <u>텍스트 밑에 밑줄</u></p>
</body>

</html>

 

영역 지정 태그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 중에 <div>태그와 <span>태그에 설명하고자 한다. 

  • <div> </div>
    <div>태그는 여러 HTML들을 블록으로 묶는 역할을 하는 블록 태그이다. 블록 전체에 동일한 스타일을 주는 등이 가능하다. 
  • <span></span>
    텍스트 일부분에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로, 해당 영역에 대한 디자인 수정 등의 일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 태그

<q cite=주소>인용문 또는 <blockquote cite = 주소>인용문 : 웹 페이지에서는 표시되지 않으며, 문장을 어디서 인용했는지를 알려준다. 

<time datetime="지정하는 시간">내용</time> : 해당 요소와 관련 시간 및 날짜를 나타내는 것으로,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 기술 등에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