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9

JavaScript : 호이스팅이 무엇인가 ? 호이스팅(Hoisting)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함수, 변수 선언을 선언하고 맨 위로 끌어올린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호이스팅은 함수나 변수를 어디에 선언했던지 간에 필요한 곳에서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 잘못된 값(undefined)을 받아 예기치 못한 버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후에 변수가 선언되었어도, a의 값을 undefined로 초기화하여 값을 불러온다. JavaScript의 변수는 3단계에 걸쳐서 생성한다.선언 단계 스코프와 변수 객체가 생성되고, 변수를 변수 객체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스코프가 변수 객체를 참조한다. 초기화 전까지는 TDZ(temporal dead zone : 스코프의 시작지점부터 초기화 시작 지점까지의 구간)에 존재한다.초.. 2024. 7. 22.
JavaScript의 기초 문법 : 함수 함수는 어떤 목적을 가진 작업들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으로, 여러 곳에서 실행 가능하고(재사용성),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function 함수명 (매개변수1, 매개변수2, .. 매개변수n){로직return 반환값}함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로직이 수행된 후에 반환값을 도출한다. 함수를 작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매개변수, 리턴타입이 둘다 없는 경우 매개변수, 리턴타입이 둘다 있는 경우 매개변수는 있는데 리턴타입은 없는 경우매개변수가 없고 리턴타입이 있는 경우 함수명(매개변수 값);함수 사용할 때는 함수명을 불러온 후에 매개변수로 사용할 값을 작성하면 된다. 함수 작성법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한다. 이미 정의된 예약어는 사용이 불가능하.. 2024. 7. 22.
JavaScript의 기초 문법 : 제어문 - 반복문(while / for) JavaScript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로직을 실행(조건문)하거나 반복실행(반복문)할 때 사용한다. JavaScript의 반복문은 while문과 for문이 있다. 반복문의 경우에는 로직을 적게 작성하고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하지만, 로직을 잘못 설계한 경우 무한루프 가능성이 있다.  whilewhile(조건문){조건이 참인 동안에 반복할 로직};while에 작성된 조건문이 참일 동안에 로직을 반복하고, 거짓일 경우 로직을 빠져나와 아래 로직을 시행시킨다. 무한반복의 경우 while(true){로직};으로 가능하다.do ~ whiledo{조건이 참인 동안에 반복할 로직} while(조건문);while의 경우에는 작성된 조건문이 참일 동안에만 로직을 시행하지만, do~while을 사용할 경우 맨 처음에 .. 2024. 7. 19.
JavaScript의 기초 문법 : 제어문 - 조건문 (if / switch-case) JavaScript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로직을 실행(조건문)하거나 반복실행(반복문)할 때 사용한다. JavaScript의 조건문은 if문과 switch-case문이 있다. ifif(조건문){조건문이 참일 때 실행되는 로직}if문은 조건문이 참일 때 로직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로직을 실행시키기 않고 if문 밖으로 빠져나간다. if문의 경우에는 if문 하나만 작성하는 단순if문, if문을 여러개 작성하는 다중if문, if문 안에 if문을 작성하는 중첩 if문(중첩if문의 경우에는 가독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시 유의해야한다.), 참이 아닐 때의 로직도 작성하는 if-else문 그리고 if-else문이 여러개 들어간 if-else if-else문이 있다. if-else문if(조건문){조건문이 .. 2024. 7. 18.
JavaScript의 기초 문법 : 연산자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경우에는 산술연산자, 비교연산자 그리고 논리연산자를 반드시 가지고 있다. 나머지 할당연산자, 비트연산자, 문자열 연산자, 조건(삼항)연산자는 언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있다. 쉼표 연산자, 단항 연산자, 관계 연산자의 경우에는 JavaScript에만 존재한다. 연산자산술연산자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 등의 연산에 사용된다.연산자이름설명+덧셈숫자 피연산자를 더한다. ( 1+2 = 3)문자열을 연결한다.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문자열 연산자-뺄셈두개의 피연산자를 뺀다. ( 2-1 = 1)*곱셈두 피연산자를 곱한다. (2*3 = 6)/나눗셈왼쪽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눈다 (6/2 = 3)%나머지왼쪽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 2024. 7. 16.
JavaScript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보자 대화상자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JavaScript를 사용하여 대화상자를 표시한다.alert()알림창을 띄어준다.   prompt()사용자에게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패널을 제공한다. 받는 데이터는 문자열이 된다.  confirm()true/false를 입력하는 패널을 제공한다. 2024. 7. 15.